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강아지 예방접종 관련해서 드립니다! 강아지 예방 접종에 관한 부작용이나 사망 소식이 적지만 그래도 들려오니
강아지 예방 접종에 관한 부작용이나 사망 소식이 적지만 그래도 들려오니 강아지를 키우는 입장에서 곧 다가올 예방 접종을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됩니당ㅠ-ㅠ 그래서 수의사 선생님들의 의견을 들어보고 싶어서 이렇게 질문드려요!1. 광견병 접종 약이 강해서 단독 접종이 좋다고 하는데 종합 백신이랑 광견병 같이 맞아도 괜찮을까요?2. 코로나 장염 예방 접종은 굳이 안 맞아도 된다고 하던데 캠핑이나 애견 카페를 자주 가는 편이면 접종을 권장한다고 하더라구요. 수의사 선생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3. 미국에서는 종합백신을 3년에 한번 맞는다고 하는데 한국에서는 1년에 한번 맞는 이유는 뭘까요..?4. 접종하기 전에 항체가검사를 해보고 항체가 없는 접종만 하는 방법도 있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실까요?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안병주입니다.
1. 컨디션이 괜찮으면 보통 2대씩 같이 접종합니다.
(대부분(90%이상) 종합+광견병이나 광견병+인플루엔자)
접종하는날 컨디션에 따라 수의사 선생님과 상담 후 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2. 종합, 코로나 장염, 기관지염(켄넬코프), 광견병, 인플루엔자 => 이렇게가 요즘은 필수 접종 사항입니다.
당연히 코로나 장염 접종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3. 미국과 우리나라는 전염성 질병의 발생 빈도나 패턴이 다릅니다.
(미국인들이 키우는 반려견들은 소형견은 거의 없고 주로 대형견 위주로 많이 키워요
- 아무래도 소형견 보다는 대형견의 면역체계가 좀 더 강하겠죠)
미국은 초일류 국가인 만큼 전염성 질병의 차단이나 관리가 아주 잘이루어져 있어서
매년 추가접종을 하지 않을 수도 있어요.
그러나 우리나라는 거의 면역체계가 약한 소형견 위주로 많이들 키우시고 국토 자체가 작고
아파트 위주의 밀집 사육되는 경향도 무시할 수 없어요. 그러다 보니 전염성 질병의 발생 빈도가
높아서 매년 추가접종을 권장하는 것으로 알고있어요.
4. 예방접종을 하는 이유가 항체 형성을 위해 맞는거기 때문에 매년 접종 전에 항체가검사를 해서
항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접종만 하시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에요.
항체가 형성되어 있으면 궂이 맞을 필요도 없지요.
(예방접종 과민반응이 걱정되신다면 이방법을 권장해 드려요)
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라며 좀 더 궁금하신 점은 병원에서 상담 받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