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때문에 치매가 생길 수 있나요? 고혈압과 부정맥이 조절되지 않아 뇌졸중을 겪었는데, 이게 나중에 치매로 이어질
고혈압과 부정맥이 조절되지 않아 뇌졸중을 겪었는데, 이게 나중에 치매로 이어질 수 있다고 들었어요. 정말 그런가요?
네, 고혈압과 부정맥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으면 뇌졸중 위험이 높아지고, 이후 치매로 이어질 가능성도 커집니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뇌에 손상이 생기는 질환인데, 이로 인해 인지 기능이 저하되거나 기억력이 감퇴하는 등 치매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혈관성 치매'라고 하며, 뇌졸중을 경험한 사람 중 상당수가 이후 치매로 진행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특히 심방세동 같은 부정맥은 심장에서 생긴 혈전이 뇌혈관을 막아 뇌졸중을 유발할 수 있고, 이로 인한 뇌 손상이 누적되면 치매 위험도 올라가게 됩니다. 따라서 혈압과 심전도를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가정혈압 측정이 큰 역할을 합니다.
가정에서는 하루 두 번(기상 후와 취침 전), 정해진 시간에 혈압을 측정해 기록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또한 최근에는 심전도 측정 기능이 포함된 가정용 혈압계도 있어, 부정맥 징후를 조기에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국제 인증을 받은 제품 중에는 커프 사이즈가 다양하고, 스마트폰과 연동돼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기들이 있으므로, 이런 기기를 활용하면 고혈압과 부정맥의 변화를 장기적으로 추적하고 뇌졸중 및 치매 예방에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