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타 원래 이래요? 제가 몇일 전부터 제타를 시작했거든..근데 문제점이 한둘이 아니에요...먼저 자꾸 여자캐릭터를
제가 몇일 전부터 제타를 시작했거든..근데 문제점이 한둘이 아니에요...먼저 자꾸 여자캐릭터를 형이라 부르거나분명 연애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레즈랑게이 커플을 탄생 시키지 않나...연프에서 하는 미션을계속 똑같은 것만 하고 이거 지난번에 했잖아요, 하면맨날 진행자는 당신의 말을 무시하고 이어서 말한다, 이렇게됩니다...뭣 보다 분명 미션을 하는 상황이였지만갑자기 다른 캐릭터 둘이 기괴하게 웃으면서 목 조르고따라오고...엄 한마디로 공포가 되었습니다..그래놓고 다시 새로운 미션을 하자며 진행자가 말합니다...어...저만 이런거 아니죠....?
안녕하세요. 제타(Zeta) AI 챗봇을 사용하시면서 겪으신 기괴하고 당황스러운 경험에 대해 질문 주셨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사용자님만 겪는 특이한 현상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현재 많은 캐릭터 AI 챗봇에서 비슷한 문제들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용자님이 겪으신 문제들은 AI 모델의 기술적 한계와 특징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은 AI가 한국어의 성별에 따른 호칭(형, 오빠, 누나, 언니)과 그 미묘한 사회적 맥락을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흔한 오류입니다.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지만, 이처럼 복잡한 관계적 호칭을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데에는 아직 어려움을 겪곤 합니다.
AI는 정해진 시나리오대로만 움직이는 게임 캐릭터가 아닙니다. AI는 사용자의 입력과 기존 대화의 맥락을 바탕으로 '가장 그럴듯한 다음 이야기'를 즉석에서 만들어냅니다. '연애 프로그램'이라는 설정 안에서 AI가 생각하기에 흥미롭거나 파격적인 전개로 '동성 커플의 탄생'을 생성해낸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AI의 창의성(?) 혹은 예측 불가능성이 드러나는 부분입니다.
3. 똑같은 미션을 반복하고 지적을 무시하는 문제
이 현상은 AI가 '루프(Loop)'에 빠졌다고 표현합니다. 특정 패턴이나 주제에 갇혀서 비슷한 말을 계속 반복하는 것이죠. 사용자가 "이거 지난번에 했잖아요"라고 지적했을 때 "당신의 말을 무시하고 이어서 말한다"와 같이 출력되는 것은, AI가 대화의 흐름을 강제로 이어나가기 위해 사용하는 일종의 '회피성 스크립트'입니다. 대화가 막히거나 오류를 인정하기 어려운 상황일 때, 정해진 패턴으로 상황을 돌파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4. 갑자기 분위기가 공포물로 바뀌는 문제 (가장 중요)
이것이 캐릭터 AI 사용자들을 가장 당황하게 만드는 문제입니다. 멀쩡하게 대화하다가 갑자기 누군가를 해치거나, 기괴하게 웃고, 쫓아오는 등 공포스러운 상황을 연출하는 것은 AI의 필터링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폭력적/공포스러운 콘텐츠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AI는 인터넷의 수많은 글(소설, 뉴스, 커뮤니티 글 등)을 학습하는데, 이 데이터에는 당연히 공포물이나 스릴러 장르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AI가 대화를 생성하다가 우연히 이런 어두운 데이터의 경로로 빠지게 되면, 사용자의 의도와는 전혀 상관없이 갑자기 분위기를 공포로 전환시켜 버리는 '글리치(Glitch)'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에게 매우 불쾌한 경험을 줄 수 있으며, 많은 AI 챗봇 플랫폼이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문제입니다.
"제타 원래 이래요?"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네, (정도와 빈도의 차이는 있지만) 그럴 수 있습니다." 입니다. 이는 제타 뿐만 아니라 많은 캐릭터 AI 챗봇이 가진 고질적인 문제입니다. 사용자님은 AI 기술의 명확한 한계를 경험하고 계신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이 대처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새 대화 시작하기: 문제가 발생한 대화는 그냥 끝내고, 새로운 대화방을 시작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확실한 해결책입니다.
AI 답변 수정하기: 일부 앱에서는 AI의 답변을 직접 수정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상한 답변이 나왔을 때 그 부분을 지우고 정상적인 내용으로 수정해주면, AI가 수정된 내용을 기반으로 다음 대화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지시하기: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만들지 마." 와 같이 OOC(Out of Character) 지시를 괄호 안에 넣어 명확하게 요구하면 AI가 이를 따를 확률이 높아집니다.
다른 캐릭터 사용해보기: 문제가 되는 특정 캐릭터와의 대화에서만 유독 오류가 잦을 수도 있습니다. 다른 캐릭터 봇으로 변경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결코 사용자님 혼자 겪는 이상한 일이 아니니 너무 놀라지 마시고, 현재 AI 기술이 아직 완벽하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고 즐기시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불편하고 기괴한 경험을 하신 점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 https://blog.naver.com/gangwongyu13
★ https://www.blogger.com/blog/posts/6827256478689978562
★ https://kangwon12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