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내신 고2이고 이번에 문학 등급이 나왔는데......종합해서 90점인데 4가 떴네요.....문과인데...황당해서 웃음도 안나와요ㅋ
고2이고 이번에 문학 등급이 나왔는데......종합해서 90점인데 4가 떴네요.....문과인데...황당해서 웃음도 안나와요ㅋ 95인데 3뜬애도 있고......이정도면 학교가 문제를 잘못낸건가요?
이런 상황에서 '학교가 문제를 잘못 낸 건가'라는 의문이 드는 건 당연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문제가 잘못되었다기보다는, 등급이 결정되는 방식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을 가능성이 커요.
가장 중요한 이유입니다. 내신 등급은 내가 몇 점을 받았느냐(원점수)도 중요하지만, **다른 친구들이 몇 점을 받았느냐(상대적인 위치)**가 훨씬 더 중요해요.
만약 이번 문학 시험이 매우 쉬워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면, 90점이라는 높은 점수라도 전체 학생들 중 상위 40% 안에 들지 못해 4등급이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90점대 중반이나 후반에 학생들이 촘촘하게 몰려있고, 90점은 그 점수대 아래에 위치하게 된 거죠.
2. 응시 학생 수가 적을수록 등급컷이 더 촘촘해요.
문과 반이나 문학 선택 학생 수가 적다면, 등급을 나누는 인원수 자체가 적어져요. 예를 들어, 전체 학생 수가 100명이라면 1등급은 4명, 2등급은 7명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지만, 30명이라면 1등급은 1명, 2등급은 2~3명으로 등급컷이 훨씬 치열해지고 점수 1, 2점 차이로 등급이 크게 갈릴 수 있습니다.
3. '문제의 난이도 조절 실패'일 가능성도 있어요.
학교 시험은 교사가 직접 출제하기 때문에, 때로는 난이도 조절에 실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너무 쉬운 시험: 위에 설명했듯이, 변별력이 부족해서 대부분의 학생이 고득점을 하면 90점도 낮은 등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류 문항 또는 정답 시비: 간혹 문제에 오류가 있거나, 정답이 복수이거나, 애매한 보기가 있어서 많은 학생들이 혼란을 겪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전체적인 점수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등급컷 확인: 담임 선생님이나 문학 담당 선생님께 이번 시험의 **평균 점수, 최고 점수, 그리고 각 등급별 커트라인(특히 3등급과 4등급의 커트라인)**을 여쭤보세요. 왜 90점에 4등급이 나왔는지 가장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방법입니다.
시험 분석: 친구의 95점이 3등급이고 내 90점이 4등급이라면, 아마 3등급 컷이 90점대 초중반에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떤 유형의 문제에서 실점했는지 다시 확인하고, 다음 시험에서는 이 부분을 보완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다음 시험 준비: 이번 시험이 등급 받기 불리한 시험이었다면, 다음 시험에서는 단 1, 2점이라도 더 받아서 등급을 올리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등급은 쌓이는 것이 아니라 매 학기/학기말에 리셋되므로, 다음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면 충분히 만회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