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현대무용 작품비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중3 아이 엄마입니다 지금 이번 시즌이 끝나면학원을 옮기려고 확정지었습니다 시간이
안녕하세요중3 아이 엄마입니다 지금 이번 시즌이 끝나면학원을 옮기려고 확정지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이해할수 없는 부분이 계속 생기네요 당장 그만두고 싶지만 아이가 접수한 콩쿨은 나가고 싶다해서 참고있습니다다니는중에 상담을 가기는 좀 곤란해서 콩쿨 끝나고상담가고 싶은데요한가지 궁금한점음 작품을 받을때 작품안무를 2분다 완성되면 아이에게 가르쳐 주시는건지몇초씩 끊어서 레슨이 들어가는건지 궁금합니다기존 학원에서는 20초 10정도 안무를 매번 가르쳐 주시면서 2분이 완성되기까지 두달이 걸렸습니다두달동암 개인레슨은 40회정도했습니다 아이 말로는 개인 레슨 시간에 안무를 생각하시면서 가르쳐 주시고 했다는데 이게 맞는걸까요완성된 두달후에는 발레가 부족하다고 레슨을 더 추가하고 안무 숙지가 잘 안된다며 개인 레슨을 계속해서 추가해서 하루 길게는 3시간레슨 한달 레슨비만 400정도 지불하고했어요 이제 중3이라 작품비도 올라서 900만원이라고 합니다 물론 아이가 너무 좋아하고 그래서계속 지원해주고싶은 마음입니다 감당할수 없는 비용들이 점점 늘어나니 너무 힘드네요
일반적인 개인 안무 레슨의 구조는 보통 두 가지입니다.
완성 안무 후 전달 -> 안무가 미리 2~3분 완성된 상태에서 아이에게 전달됨. (가장 이상적)
부문 안무를 조금씩 전달하며 레슨 중 완성 -> 매 시간 10~30초씩 짜면서 전달함. (자주 발생하지만, 부담이 큼)
개인 레슨 40회
안무 숙지, 완성도 높이기 위해 개인레슨은 필요할 수 있음.
다만 2분짜리 작품을 위해 두달간 40회 (주 5회 이상) 는 상당히 과도한 수준.
안무가 미완성인 채로 수업시간에 즉석에서 생각하며 지도한 건, 학원의 전문성이나 준비성 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음.
하루 3시간 레슨, 월 400만 원 + 작품비 900만 원
이 역시 전문 콩쿨 준비반, 입시반이라 하더라도 부담이 과도한 편.
발레, 현대무용 등 예체능 분야에서 작품비 100~200만 원대는 흔하지만, 900만 원은 상식선을 벗어난 고액.
다음 학원 상담 전에 꼭 확인하실 포인트
안무 방식 - 작품 안무는 사전에 완성된 상태에서 전달되는지.
레슨 체계 - 작품 레슨은 몇 회를 기본으로 하는지.
발레 보완 - 작품 준비 중 발레 보완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하는지. 필수인지.
추가 비용 - 작품비 외 추가 개인레슨비, 복창, 영상, 무대비용은 어떤 식으로 발생하는지.